Close

한국: 중간 강국이 만들어지고 있습니까?

한국: 중간 강국이 만들어지고 있습니까?
  • Published8월 1, 2021

한국은 중간 강국인가? 이 질문은 대답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특히 “중간 권력”이라는 용어가 다소 모호하고 잘못 정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제 한국 사람들이 스스로를 중견국으로 인식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려고 한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실제로 지난 몇 년 동안 특히 좌파 성향의 문재인 정부를 지지하는 많은 지지자들 사이에서 서울 분위기에서 승리의 느낌이 있었습니다. 미디어는 한국의 새로운 글로벌 진출에 대해 기사를 쓰며 책의 제목은 초월의 시대 베스트셀러가 되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이 책은 한국이 더 이상 선진국을 따라잡는 것이 아니라 일부 주요 국제 플레이어보다 많이 팔리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자, 승리의 승리를 따라가자 시대 정신 그녀는 한국이 이제 진정한 중간 강대국이라는 데 동의합니다. 결국, GDP의 크기(러시아의 크기와 거의 동일)와 군대의 힘이 국제 침투 시스템에서 높은 위치에 있음이 분명합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무엇이 그렇게 특별합니까? 스웨덴, 호주 또는 폴란드와 같은 논쟁의 여지가 없는 중견국과 어떻게 비교할 수 있습니까?

그렇게 하면 한국을 매우 편협한 생각을 가진 중간 강국으로 볼 수 있고, 국경 너머에 있는 것에는 너무 관심이 없으며, 당면한 관심사와 관련이 없다고 생각되는 문제에 대해 책임을 지기를 열망하지 않을 것입니다. .

대부분의(전부는 아니지만) 중간 강대국과 달리 동정심 많은 이웃과 동맹국에 둘러싸여 있지 않으며 부분적으로 책임이 있습니다. 이 동맹이 미국 내에서 매우 중요하고 매우 인기가 있지만 유일한 동맹은 미국입니다.

논리적으로 한국이 가까운 2개의 민주주의 국가인 일본 및 대만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를 기대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또한 대한민국의 공식 동맹국이 아닙니다. 일본과의 관계는 식민지 과거에 대한 끝없는 불일치로 인해 손상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외부인이 인식하는 것보다 훨씬 더 강렬하고 감정적입니다. 대만과의 관계는 매우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아마도 오랫동안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의 주요 교역 파트너인 중국과의 잠재적인 합병증에 대한 두려움 때문일 것입니다.

READ  한국은행, 물가상승 압력에 금리 1% 인상 가능성

그리고 중국의 위대한 독재정권은 서울의 친구도 아니다. 처음에는 중국에 대한 태도가 모순적이었지만 지금 여론 조사에서는 중국에 대한 적대감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한국은 떠오르는 거대 이웃에 대해 점점 더 불편해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독재적 이웃인 러시아는 한국에서 그다지 적대감도 없고 동정심도 크지 않으며 어쨌든 2차 교역 파트너로 남아 있습니다.

좁은 시야와 가치관은 한국 사회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이 나라는 난민을 받아들이거나 이민자에게 거주권을 부여하는 것을 꺼리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2018년 기준 난민 수용률은 3%로 선진국치고는 매우 낮은 수준이다.

현재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은 250만 명으로 대부분이 이주노동자이지만, 이 모든 사람들이 조만간 떠날 것이라고 현지인들은 보편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들은 주류 한국 사회와 거의 상호 작용하지 않으며 평균 한국인에게는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그들이 한국 혈통이고 더 나은 대우를 받지 않는 한 영주권을 얻을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이민에 대한 이러한 입장은 사회에서 광범위하고 거의 보편적인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거의 모든 다른 문제에 대해 “진보적 의제”로 간주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사람들조차도 이민에 관해서 갑자기 태도를 바꾸고 있습니다. 설문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부유한 국가 출신의 잘 교육받은 전문가들이 공통 인종의 장기적 존재를 마지못해 받아들이는 것을 한국인들이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다고 여론 조사가 시사합니다. 그러나 다른 이민자들에 관해서는 이러한 가난한 국가의 시민들이 비교적 짧은 체류 기간 동안 순종적인 반숙련 및 비숙련 노동자로 남아 있는 한 허용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저출산과 높은 고령화율이라는 가혹한 현실을 감안할 때 이 접근 방식은 현실적이지 않지만 뿌리가 깊으며 곧 바뀌지 않을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한국은 중간 강국에 필요한 자금과 도구를 가지고 있지만 우리 사회는 여전히 글로벌 비전과 글로벌 책임 의식이 부족합니다. 국가의 글로벌 사업 및 이니셔티브의 대부분은 장식적이고 상징적으로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늘날 한국 사람들은 스스로를 세계적인 영향력을 가진 중간 강국으로 상상하고 싶어하지만, 한국 유권자와 납세자들은 여전히 ​​자신들의 직접적인 이익 및 국가와 명확하게 관련되지 않은 문제에 상당한 자원이 사용되는 것을 꺼립니다.

READ  푸조, 포드, FCA, BMW 등 43 개 모델 2 만대 리콜

Andrei Lankov 교수는 국민대학교홍수.

사진: 로이터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