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한반도는 여전히 분단

한반도는 여전히 분단
  • Published3월 23, 2024

북한의 독재자 김정은은 전쟁을 염두에 두고 2023년을 마쳤다. 12월 30일 모인 당 간부들에 대해 이 씨는 남북이 현재 ‘전쟁의 두 가지 교전 상대’라고 선언했다. 1월 초순에는 본격적인 분쟁을 시작할 생각은 없지만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렇다면 한국을 섬멸하게 된다.

2019년 하노이에서 열린 불우한 정상회담 이후 김 씨와 당시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씨의 브로맨스가 사라지면서 이러한 호전적인 태도는 점점 보편화되고 있다. . 김씨가 무서운 무기를 실험하거나 한국을 섬멸한다고 위협하지 않는 달은 거의 없다. 그러나 베테랑의 북한 감시자인 로버트 칼린씨와 지크프리드 헤커씨가 웹사이트 ’38노스’에 게재한 최근 논평에서는 김씨가 ‘전쟁을 하는 전략적 결정’을 내렸다. 라고 말하고 눈썹을 찌푸리고 있다. 이것은 판단이 어렵고, 아마 과장되고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북한이 그 어느 때보다 위협이 되고 있는 것은 확실하며, 날마다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 전투 기계는 점점 더 강력 해지고 있습니다. 지난 2년간 한국과 미국을 향해 핵무기를 발사할 수 있는 전례 없는 수의 미사일 실험을 실시했다. 11월에는 군사위성을 궤도에 올려 중요한 군사정보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첫걸음이 되었다. 이미 2024년 포격훈련과 국영미디어가 주장하는 ‘극초음속’ 탄두를 탑재한 고체연료 중거리 탄도미사일 실험을 실시하고 있다.

이 군비증강에 따라 북한의 한국에 대한 태도는 경화되고 있다. 수십년에 걸친 정책을 뒤집고 김씨는 현재 북부인과 남부인은 더 이상 단일한 조선민족에 속하지 않고 한국을 통치하는 ‘씨족’과의 통일 이야기는 무의미하다고 주장한다. 있습니다. 한국을 타겟으로 한 북한의 프로파간다 사이트나 라디오국은 암전하고 있다. 김 씨는 1월 15일 북한의 수도와 양국을 분단하는 비무장지대 사이의 고속도로에 걸친 남북화해의 화려한 기념비인 통일문의 철거를 명하며 한국과 관련된 3부문 폐쇄 명령했다. .

그러나 이들은 모두 김씨가 정말로 전쟁을 원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은 아니다.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의 크리스토퍼 그린 씨는 그는 “지난 편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자국을 존속시키기 위해 식량과 공업제품을 수입하고 있다. 미국은 우크라이나, 이스라엘, 홍해에 신경을 썼으며 중국에는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한국과 러시아의 새로운 우호관계는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 1월 17일, 양국의 외상은 김씨와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작년 9월에 개최한 파우와우를 팔로우 하기 위해 회담했다 . 우크라이나 전장.

READ  미국은 중국, 러시아는 미사일 발사 후 '도발'을 피하도록 북한에게 말해야 한다고 말한다

비록 만일 미국이 전쟁에 참가하지 않더라도 김씨에게 있어서 전쟁은 상당한 비용과 리스크를 수반할 것이다. 어떤 승리도 승리가 될 것입니다. 민주주의에 대한 열정을 가진 5,200만 명의 사람들을 흡수하는 것 이상으로 전체주의 정권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것이 있을까?

서울의 싱크탱크, 아산 연구소의 고명현씨는 김씨는 아마도 결국 미국과 협상하기 전에 영향력을 얻기 위해 침략을 이용하겠다는 북한의 패턴에 고집하고 있을 것이라고 지적한다. 미국은 비핵화를 의제에 올려야 한다고 주장하며 북한은 핵에 고집하고 있지만 양쪽 모두 대화에 열심하지 않다. 그러나 김씨는 아마 트럼프의 복귀를 기다릴 여유가 있다.

2010년 북한은 한국 근처의 섬인 연평도를 포격해 한국인 4명을 살해했다. 당시 미국 국방장관이었던 로버트 게이츠 씨는 회상록 속에서 포격이나 공폭을 포함한 ‘불균형에 공격적인’ 대응에서 한국인을 어떻게 배제할지 토론할 필요가 있었다고 회상하고 그래서 그것이 에스컬레이션을 일으키는 것이 아닐까 우려하고 있었다. 한국 대통령은 1월 16일 도발에 대해서는 “몇 배나 엄격한 징벌로” 대응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러한 과잉반응은 한국 정복에 대한 김씨의 폭언보다 전쟁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 2023, 이코노미스트 신문사. 무단 전재를 금지합니다. 이코노미스트에서 라이센스에 따라 출판. 원본 콘텐츠는 www.economist.com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