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10 억 전세 서민, 1 억 집 사면 투기와?”

“10 억 전세 서민, 1 억 집 사면 투기와?”
  • Published10월 21, 2020

사진 설명[사진 출처 = 연합뉴스]

직장인이 모씨 (34)는 최근 서울 지역의 중소형 아파트 계약일을 예정보다 앞당겨 26 일까지 완료했다. 결혼 할 때 부모님이 마련해 주신 1 억원의 전세 자금에 대한 자금 출처를 증명해야한다면 할 수 있다는 조언을 몇 번 들었 기 때문이다. 그는 “세무사와 상담 한 결과, 부모가 준비해 주신 전세 자금도 증여 절차를 제대로 밟지 않으면 자금 조달 계획서 제출 후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21 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부동산 규제 지역에서 3 억원도 안 중저가 주택으로까지 자금 조달 계획서 제출 대상이 확대되고, 여분의 주택 구매자의 고민이 깊어지고있다. 매매 계약 일정을 앞당기라고 세무사를 찾아 전문적인 상담을받는 경우도 늘고있다. 국토 교통성이 자금 조달 계획서 제출 대상 확대 등을 주요 내용으로하는 부동산 거래 신고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 개정안을 27 일부터 시행하기로 행해진 것이다. 현재 자금 조달 계획서 제출, 규제 지역 (투기 과열 지구 조정 대상 지역) 3 억원 이상, 비 규제 지역 6 억원 이상 주택 거래 만라는 개정안이 시행되면 규제 지역 모든 주택에 적용된다. 현재 조정 대상 지역은 수도권 대부분 지역과 대전, 세종, 청주의 일부 지역 등 69 곳이다. 투기 과열 지구는 서울 전역과 경기 과천 · 성남 분당 · 광명, 인천 일부 지역 대구 수성구, 세종 등 48 곳이다. 따라서 구매자는 예금과 주식 증여, 부동산 처분 대금 등의 자금을 모두 모아 주택을 구입 최대 15 종의 서류를 직접 준비해야한다. 규제 지역이면 1 억원의 빌라를 사더라도 최대 15 종의 서류를 챙겨야한다.

제출처가 확대되고 인터넷 부동산 카페 등을 중심으로 예비 구매자들의 불만이 들끓고있다. 주택 예비 인수자 A 씨는 “1 억 ~ 2 억원의 가정을 사는 경우 자금 조달 계획서 및 자금 출처 증빙 자료를 내고 10 억 ~ 20 억원의 전세를 취득 자금 출처를 묻지 않는 세계 ‘ 과 “1 억원 집 사면 죄인 적폐하고 10 억원의 전세면 무주택 서민 취급 나라가 과연 공정하고 정의 하느냐”고 한탄했다. B 씨는 “불법 투기 근절은 선별 적으로 유지하는 네야지 그 능력이 안 되니까, 모든 국민을 잠재적 투기꾼으로 몰아 간다”고 반발했다.

READ  강 다니엘이 "해독제 '로 한국 솔로 넘버원 스매쉬 주장

빠른 예비 주택 구매자는 세무사를 찾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바쁘다. 신 방수 세무 법인 정상 세무사는 “최근 자금 조달 계획서 제출 예비 주택 구매자 문의가 잇따르는”며 “정확한 금액을 적지 않았다 할 경우 과태료의 문제는 제출 후 후속 신경 되지 않는다 “고 설명했다.

새로운 세무사는 증여 신고를 제대로하지 않은 부모의 손을 빌려 보증금이 향후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는 “보증금은 같은 현금면서, 인식이 그냥 넘어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증여 신고를하지 않은 건은 조사 과정에서 적발 될 수 세무 당국 이 마음 만 먹으면 불똥이 커질 수있다 “고 말했다.

모기지뿐만 마이 홈이 어렵고, 신용 대출 및 마이너스 통장을 이용하는 실수요자들도 혼란에 빠졌다. 특히 자금이 부족한 20 ~ 30 대 신혼 부부는 신용 대출없이 집을 마련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 자금 출처 조사에 촉각을 곤두 세우고있다.

금융 당국은 원칙적으로 주택 담보 대출 비율 (LTV)을 초과 범위의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신용 대출 허가가 없다는 방침이다. 만약 주택 구입 목적을 위해 신용 대출을받을 LTV 한도에서이를 공제하게되어있다. 국토 부는 생활 자금을 위해 신용 대출을 받아도 주택 마련에 쓴 사례가 적발되면 금융 당국에이를 통보하고 시정 조치 할 방침이다.

권 대중 명지대 부동산 학 교수는 “서울과 수도권 대부분의 지역이 자금 조달 계획서를 내야하는 상황인데, 이것은 사실상 주택 거래 허가제를 실시하는 것으로 틀림 없다”며 ” 수요 억제 중심의 규제 정책은 풍선 효과를 계속 만들 수밖에 없다 “고 말했다.

[유준호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