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4월 2일자 중앙일보 사설)

(4월 2일자 중앙일보 사설)
  • Published4월 2, 2022

정부 기관의 업무 간소화

산업통상자원부는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7차례 명칭을 변경했다. 기타 관청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 전략 및 재무 부서 – 이름도 여러 번 변경해야 했습니다.

한국행정개혁협회(KAPA)에 따르면 한국 정부는 1948년 건국 이래 50차례의 크고 작은 개편을 거쳤다. 정부는 급속한 산업화, 성장, 민주화라는 행정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조직을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하지만 성급한 조직개편도 한몫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인수위도 조직개편에 나선다. 정부 부처는 무엇보다도 무역과 여성 문제에 대한 수수료를 놓고 경쟁합니다.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시되었습니다.

그러나 잦은 조직개편은 행정관리에서의 기억과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정책결정능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새 정부는 국가과제를 정의하고 그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행정조직을 개혁할 수 있다. 그러나 새 정부에 깊은 인상을 주려는 과도한 관심은 실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갱신을 줄이면 입법부의 승인을 얻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명박 정부는 기존 산업자원부에 정보통신산업정책을 추가해 지식경제부를 출범시켰다. 이 낯선 이름은 많은 외국인들로 하여금 지식경제부가 실제로 하는 일을 궁금해하게 만들었다. 칭호는 5년 후 다음 정부에 의해 폐지되었다.

정부를 약하고 효율적으로 유지하는 기본 원칙은 유지되어야 합니다. 인구가 많고 경제가 큰 선진국은 관공서가 더 적습니다. 미국은 15개, 일본은 13개, 프랑스는 16개, 독일은 15개이지만 한국은 18개입니다. 한국에 관공서가 더 많다고 해서 행정 서비스가 더 나은 것은 아닙니다.

관공서가 너무 많으면 대학의 증가로 인해 공공부문이 커지게 된다. 문재인 대통령 치하에서 너무 커진 정부는 다이어트가 필요하다. 공공 부문이 너무 크고 비효율적이라면 사무실 통합을 고려해야 합니다. 합리화는 효율성에 최우선 순위를 두어 단일 목사가 통합을 통해 지나치게 확장된 사역을 감독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