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이 넘고 새로운 시작 – 퇴직 후 일자리를 찾는 노인들
강호식(62)씨는 “퇴직사원으로 서울의 한 아파트에서 관리실장으로 일하기 시작했다”며 “드론이 나무에 소독제를 뿌리는 모습을 뉴스에서 접했다”고 말했다.
“아파트의 녹지를 더 잘 가꾸기 위해 드론 학원에 다니기로 했는데, 나중에 그 기술이 너무 뛰어나서 더 알고 싶게 만들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강씨는 학생 시절 아카데미에서 두각을 드러냈고 현재는 은퇴 후 도시의 노인들이 생산적인 삶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체인 Seoul City 50 Plus에서 정식 드론 강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곽정숙(65)씨는 유치원 교사 생활을 1차 진료 전문가로 바꾼 또 다른 퇴직자다.
곽씨는 “교사로서 배운 의사소통 기술은 노인을 돌보고 그들을 위한 행사를 조직할 때 정말 유용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곽씨는 또한 헬스케어 전문가가 된 이후 인생의 또 다른 장이 열린 것 같다고 말한다.
곽씨는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노인을 요양원으로 받아들이는 나라의 문화를 바꾸고 싶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55세 이상인 사람들을 액티브 시니어라고 하며, 퇴직 후 제2의 일을 하기 위해 고군분투합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55~79세 인구의 68.1%가 은퇴 후 일하고 싶다고 답했다.
이 중 은퇴 후 일을 하고 싶은 이유가 생계를 위해 58.7%, 다시 일할 수 있는 기쁨을 느낀다는 응답이 33.2%였다.
액티브 시니어도 돈을 많이 쓴다.
이 연령대의 소비자 수는 지난 몇 년 동안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습니다.
하나금융연구원이 지난 8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50대와 60대의 음식배달 앱 결제액은 전년 대비 각각 163%, 142% 증가했다.
2020년 온라인 유통업체 쿠팡의 결제액도 50대 123%, 60대 148% 증가했다.
서영구씨는 “한국의 현역 시니어들은 평소에 돈이 많지 않은 이전 세대들과 달리 소비자로서 소비를 즐기며 경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충분한 부를 소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숙명여자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높은 자기 인식과 야심 찬 목표를 가진 오늘날의 액티브 시니어는 종종 매우 소극적이고 보수적인 한국의 전통적인 시니어와 다릅니다.
이장희(57)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 가장 빛나는 신인 중 한 명이다. 그는 치매 노인에게 초기 단계 제품을 제공하는 떠오르는 신생 기업인 SevenPointOne의 후배 회원이다. 그리고 빠른 승진으로 그는 올해 초 회사의 최고 마케팅 책임자로 승진했습니다.
그러나 이 핫 테크 스타트업의 수석 CEO가 되기 전에 이씨는 이전 직장에서 20년 이상 현대 및 아모레퍼시픽과 같은 회사의 판촉 및 광고를 주도하는 수석 PR 임원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새로운 일에 열정을 다하고 싶어서 직장을 그만두고 헬스케어 스타트업에서 인턴을 시작했습니다.
“내 기술이 이 커뮤니티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최대한 오래 일할 생각입니다.”
이현준 세븐포인트원 대표는 “이 대표는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예리한 직관력을 발휘해 잠재적인 문제점을 예측하고 사업을 지휘한다”고 말했다.
“그는 젊은 직원 못지않게 열정적으로 일합니다. 저를 포함하여 회사의 많은 직원들에게 롤모델입니다.”
2020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800만 명을 넘어 전체 인구의 16.4%를 차지한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부패하고 휘청거리는 한국 경제를 되살리는 건 현역 선배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현재 대한민국의 법정 정년은 60세입니다.
50대와 60대는 서울 전체 인구의 23%를 차지하는 서울에서 가장 큰 인구통계를 나타냅니다.
작사 오유진, 이지안 [[email protected]]
“열정적 인 TV 애호가. 미묘하게 매력적인 음악 애호가. 사악한 여행 전문가. 워너비 웹 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