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세 직접 지원 ‘검토 … 3 차 지원금 4 조원 넘을 수도
입력 2020.12.20 09:45 | 수정 2020.12.20 09:58
20 일 추가 민주당과 정부 당국에 따르면 다음달 코로나 19 소상공인의 피해 지원금을 지급 할 때 세입자를 대상으로 임대료 직접 지원금을 일정 부분 반영하는 방안이 정부 내부에서 검토되고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소상공인 대상의 임대료 지원 정책은 크게 임대인에 대한 간접 지원과 세입자에 대한 직접 지원 정책으로 나뉜다. 집주인이 임대료를 낮추는 인하 액의 50 %에 대해 세액 공제를주는 부드러운 임대인 정책이 임대 지원책의 하나 다.
정부의 영업 금지 · 제한의 지시에 영업을하지 못한 임차인에게 임대료 등 고정비 성격의 자금을 직접 지원 해주는 정책이 현재로서는 중요한 논의의 대상이다. 당정은 정부의 조치에 문을 닫는 업체의 고정 비용을 최대 90 %까지 지원하는 독일의 사례 임대료를 75 % 이상 감소하면 정부가 50 %를 보유 해주는 캐나다의 사례 등을 주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당 내부에서 임대료 지원 규모가 커지는 경우 내년 초에 보정을 편성하여 대응해야한다는 의견이 상당하다. 현재 거리를 두는 수준을 일정 기간 이상 더 유지할지 여부를 3 단계로 격상하고도 내년 예산에 편성 된 목적 예비비에 동원 할 수있는 수준을 넘었다 고 볼 수있다 .
정부 내부에서는 피해 규모가 커지는 점을 반영하여 당초 계획 한 소상공인을 넘어 특수 형태 근로 종사자 (특고) 등 고용 취약 계층 및 저소득층 지원 대상 확대 하는 방안도 논의 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수요를 감안하면 3 차 피해 지원금의 규모는 최소 4 조원이 넘는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있다. 기존에는 소상공인 · 자영업자 영업상의 손실 보전 성격의 지원금을 중심으로 계획을 짰다 현재 임대료 등 고정비 지원 성격의 지원 고용 취약 계층에 대한 지원이 추가 검토 되어 있기 때문이다. 내년 예산에 편성 된 소상공인 지원금은 약 3 조원이다.
지원 범위 및 지원 수준의 요구가 늘어나면서 3 차 지원금 계획 확정시기가 내년에 밀려 가능성도 흘러 나온다. 당초 이달 중 계획을 발표하고 다음달 중순 집행한다는 계획에 변동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완벽한 의사 소통 자. 자랑스러운 알코올 중독자. 전형적인 웹 괴짜. 무관심에 빠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말썽꾼.”